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PRD (제품 요구 사항 정의서) 란?

기획

by 임플래닛 2021. 11. 21. 23:43

본문

 

 

 고객의 불편함(Pain Point)을 해결하여 이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좋은 기획이라면,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'불편함'을 유발하는 문제를 찾아내고 정의하는 일이다. 서비스 기획을 할 때 '필요 기능'을 구현하는 것에만 몰두한다면, 정작 중요한 부분인 '문제 해결'에서 멀어질 우려가 있다. PRD (Product Requirement Document) 는 우리 서비스가 가진 문제는 무엇이고, 그것이 왜 중요한 문제인지,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해 기술하는 문서이다. PRD 작성을 통해 구성원들은 더 뚜렷한 목표를 공유하고, 각자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.

 

 

PRD, Product Requirement Document


  • 제품 요구 사항 정의서. 서비스 기획 단계에서 작성
  • 어떻게(How) 만들 것인가보다 왜(Why) 만들어야 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있음
  • 서비스를 원래 목적에 충실하게 만들기 위한 일종의 가이드 문서
  • 개발자, 디자이너 등 구성원이 기능 구현 과정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함
  • 서비스를 만들며 겪는 이슈, 업데이트, 피드백이 모두 포함됨
  • 작성된 문서를 토대로 팀 리뷰를 진행하며 아이디어를 보완해나갈 수 있음

 

PRD 작성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


아래 질문들에 대한 답이 PRD에 포함되어야 한다.

  • 만들고 싶은 서비스는 무엇인가?
  • 왜 이 서비스를 만들어야 하는가?
  • 이 서비스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무엇인가?
  • 목표를 달성했음을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?

 

PRD 작성 시 고려 사항


  • 문서를 한번에 완성하지 말고,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받는 것이 좋다.
  • 특히 구체적 기능 요구에 대해 작성하기 전, 개발자 및 디자이너와 문서를 공유하고 내용을 설명하는 것이 좋다.
  • 문서는 가독성 있게 작성되어야 한다. 뻔한 세부 내용은 과감이 배제한다. 논점에만 집중하도록 한다.
  • 와이어프레임, 도식, 표 등을 사용해 구조화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.
  • PRD 작성 시 발생하는 이슈, 업데이트, 피드백 중 중요한 부분을 기록한다

 

PRD 구성 요소


1. 요약 및 배경

우리가 해결해야 할 문제는 무엇이고, 왜 중요한가?

 

  • '어떤'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인지 정의하기
  • 서비스 기획의 목적과 배경, '왜 만들어져야 하는 서비스인가?'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

 

2. 대상 사용자

우리 서비스가 필요한 사용자는? 

 

  • 1번의 '문제'를 겪고 있는 대상이 우리의 주요 사용자
  • 단순히 타겟 정보(성별, 연령, 지역)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, '어떤 문제'를 겪고 있는가가 중점
  • 구성원이 사용자의 문제에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

 

3. 핵심 고객 여정

사용자가 우리 서비스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?

 

  • 사용자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작성
  • 일반적 단계 : 문제 인식 → 탐색 → 비교 → 사용 → 구매
  • 사용자가 단계별로 취할 행동과, 달성하고 싶은 목표, 감정, 행동 등에 대해 기술
  • 우리 서비스를 만나게 될 지점은 어디인가?
  • 다른 서비스와 비교하여 우리 서비스를 선택하게 될 포인트는 어디인가?

 

4. 기능 정의서

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현되어야 할 기능은?

 

  • 서비스 구성을 위한 세부 기능 요건을 기재
  • 이를 토대로 개발자와 디자이너는 구현 가능한 기능을 정리
  • 특정 기능을 강조하여 우선순위가 흐려지지 않도록 주의

 

5. 관련 문서

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참고할 내용은?

 

  • 서비스 구현을 위해 디자이너나 개발자가 참고할 수 있는 자료들 첨부
    • UX 플로우, 개발 설계 문서 등

 

6. 배포 계획

서비스 출시 후 예상 계획은?

 

  • 서비스 출시에 관련된 고려 사항, 예상되는 일들에 대해 작성한다
    • 마케팅 / 영업 / CS 등

 

 

 PRD는 3가지 질문(What, Why, How)에 대한 초안을 작성한 다음에 빠르게 피드백을 받아 보완한다. 이를 가지고 디자이너 및 개발자와 협력하여 최종 솔루션을 찾고, 미팅을 거쳐 이슈들을 해결하며 완성해가야 한다. 따라서 PRD에는 솔루션에 도달하기까지의 전 여정이 담기게 되며 이를 활용해 프로덕트를 더 좋은 방향으로 만들어 나갈 수 있다.

 

출처 : www.projectcartoon.com

위와 같은 불상사가 일어나는 것을 막으려면 PRD를 기반으로 논의를 이끌어내서 모두가 같은 방향을 향해 가고 있는지 확인하도록 하자.

 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